<aside> 💡 기업부설 연구소의 사후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취소될 수 있습니다.

</aside>

목차

👀 사후관리 이슈

▶ 기업부설연구소(전담부서) 설립으로 연구인력비 및 연구비의 25% 세액공제가 되므로, 매년 연구개발활동 및 연구비에 대해 국세청 및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 신고해야 합니다. ▶ 사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, 기업부설연구소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. ▶ 취소시 세액공제는 환수될 수 있습니다.

1. 연구소(전담부서) 관리 업무

구분 내용 비고
1 연구개발계획 매년 연구개발 계획을 세웁니다.
2 연구개발 일지 작성 연구개발에 대한 일지 작성
3 연구 노트의 작성 연구 내용에 대한 자료 준비
4 연구개발 결과물 특허 등의 결과물 준비
5 매년 5월 신고 -
준비사항 조직도 & 연구개발 업무분장표

2. 국세청의 신고

2020년 이후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가 진행되는 경우엔 국세청에 신고하게 되며, 아래와 같이 세액공제 사전심사 제도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3.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연구 개발 활동 조사 제출

매년 5월 중 연구개발활동조사를 제출해야 합니다.

👍 한국산업기술지능협회 사후 관리

기업부설 연구소 연구개발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

4. 연구소 취소로 인한 리스크 = 세액공제 환수

취소 사항

구분 내 용
1 연구 요원의 겸직
2 대표이사가 연구원인 경우
3 연구 활동 증빙 미비
4 연구원이 임원이고, 대표이사의 특수관계인 또는 지분 10% 초과 보유한 경우
5 퇴직금 등을 연구비로 세액공제 한 경우
6 정부, 지방자치단체, 관공서의 출연금이나 지원금으로 사용한 연구개발비